본문 바로가기

03. 꿀팁 (Life hacks)

구글 서치 콘솔 등록 방법 살펴보기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IT 현s 입니다.

 

저번에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방법에 이어서 이번에는 '구글 서치 콘솔' 등록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방법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 방법과 비슷하니까 차근차근 순서에 맞게 따라와 주시면 됩니다.

 

 

 

 

Google Search Console 접속하기

 

 

구글사이트에서 ① '구글 서치 콘솔' 검색하여 가장 위에 보이는 ② '구글 웹마스터 도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 아래 링크를 활용하셔도 됩니다.

 

https://search.google.com/search-console/about?hl=ko

 

Google Search Console

Search Console 도구와 보고서를 사용하면 사이트의 검색 트래픽 및 실적을 측정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Google 검색결과에서 사이트가 돋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

search.google.com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 입력하기

 

 

왼쪽의 도메인은 개인 도메인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이용하는 부분입니다.

우리는 티스토리 도메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오른쪽의 URL 접두어로 진행을 합니다.

 

URL 입력에 ①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를 복사해서 붙여 넣고, ② 계속을 클릭해 줍니다.

 

 

 

 

메타태그 입력하기

 

 

HTML 태그를 선택하면 '메타태그'를 확인하실 수 있으신데요. 가장 우측에 있는 복사를 누릅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메타태그 입력하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본인의 티스토리 블로그 설정 → 스킨편집 → html 편집 순으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위 사진과 같이 <head>와 </head> 사이에 복사한 구글 서치 콘솔 메타태그를 붙여 넣어줍니다.

 

 

기존에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메타태그의 바로 아랫줄에 붙여넣기한 모습니다.

① 구글 서치 콘솔 메타태그를 붙여 넣었다면 ② 적용을 누릅니다.

 

 

이후에 확인 버튼을 누르면 메타태그 입력하기는 성공입니다.

 

 

 

 

소유권 확인하기

 

 

인증 확인 중... 팝업과 함께 잠시 후 '소유권이 확인됨'이라는 반가운 소식을 접하실 수 있습니다.

이제는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과 동일한 rss, sitemap.xml 제출하기 위해 '속성으로 이동' 클릭합니다.

 

 

 

 

rss, sitemap.xml 제출하기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의 왼쪽 메뉴 리스트 중 'Sitemap'을 선택한 뒤,

본인 티스토리 블로그 뒤에 rss, sitemap.xml 각각 작성 후 오른쪽 제출을 클릭합니다.

 

 

rss, sitemap.xml 각각 작성 후 제출 클릭했지만, 위와 같이 '가져올 수 없음'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F5(새로고침) 버튼을 몇 번 해보시면 '성공' 상태로 바뀝니다.

 

혹시 F5(새로고침)을 엄~청 많이 했지만 상태가 바뀌지 않을 경우,

짧게는 몇 분에서 길게는 1~2일 정도 뒤에 바뀔 수도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저는 F5(새로고침) 몇 번 눌러주니까 '성공' 상태로 바뀌었습니다.

이제는 구글 서치 콘솔에 티스토리 블로그를 등록했습니다.

이제 남은 것은 글쓰기만 남았군요. ^^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 방법은 아랫글에서 확인해 주세요. ^^

지금까지 잘 따라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IT 현s 였습니다.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등록 방법 살펴보기

안녕하세요. IT현s 입니다. 이번에 처음으로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을 했습니다. 개설을 하고 우선적으로 설정을 해줘야 하는게 있는데요, 내 티스토리를 네이버와 구글에 검색 노출이 잘 되도록

twider.tistory.com

 

 

728x90
반응형